산업 기초 🛠/IT 기술

"도메인? IP 주소?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인터넷 주소 이야기"

초보친구 2025. 2. 7. 11:50

"IP 주소와 도메인, 우리가 몰랐던 차이점은?"

2025년 2월 7일 | 초보자를 위한 쉬운 세상 이야기

<IP와 도메인 초보자 신문> 이미지
<IP와 도메인 초보자 신문>

📰 주요 기사

인터넷을 이용할 때 우리가 자주 듣는 용어 중 하나가 "IP 주소"와 "도메인"입니다. 하지만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 특히 초보자들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IP 주소와 도메인의 차이를 설명해보겠습니다.

IP 주소란 무엇일까?

1) 인터넷의 집 주소, IP 주소

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)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가 가지는 고유한 주소입니다. 쉽게 말해,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인터넷에서 서로 통신할 때 필요한 주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
 

예를 들어, 우리가 친구 집에 가려면 친구의 집 주소를 알아야 하듯이, 컴퓨터도 다른 컴퓨터에 정보를 요청할 때 그 장치의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.

 

2) IP 주소의 형태

IP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흔히 볼 수 있는 IP 주소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.

IPv4: 192.111.1.1

IPv6: 2001:0db8:85a3:0000:0000:8a2e:0370:7334

 

IPv4는 숫자 4개가 점으로 구분되어 있으며, IPv6는 더 긴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IPv4는 사용 가능한 주소가 부족해져서 현재는 IPv6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
&lt;IP 개념&gt; 이미지
<IP 개념>

도메인이란 무엇일까?

1)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려워서 등장한 도메인

IP 주소는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기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구글의 IP 주소가 142.111.111.14라고 하면, 이 숫자를 직접 입력해서 접속하기는 쉽지 않겠죠?

그래서 등장한 것이 도메인(Domain)입니다. 도메인은 IP 주소를 대신하는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문자 주소입니다.

 

예를 들면:

  • 구글의 도메인: google.com
  • 네이버의 도메인: naver.com
  • 유튜브의 도메인: youtube.com

이처럼 우리는 숫자가 아닌 친숙한 문자 주소로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

 

2) 도메인의 구조

 

도메인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
 

예를 들어, http://www.example.com을 보면

  • www → 특정 서비스 (생략할 수도 있음)
  • example → 사이트 이름 (사용자가 정하는 부분)
  • .com → 최상위 도메인(TLD, Top-Level Domain)

도메인의 끝부분(예: .com, .net, .kr)은 TLD(최상위 도메인)라고 하며, 각 도메인은 특정한 역할이나 국가를 나타내기도 합니다.

 

예를 들어:

  • .com → 상업용 사이트
  • .org → 비영리 단체
  • .gov → 정부 기관
  • .kr → 대한민국 사이트
&lt;도메인 개념&gt; 이미지
<도메인 개념>

IP 주소와 도메인의 차이점

구분 IP주소 도메인
형태 숫자로 이루어짐  문자로 이루어짐
사용 목적 장치 간 통신을 위한 고유한 주소 사람이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만든 주소
기억하기 쉬운가? 어렵다 쉽다
변경 가능 여부 고정 IP는 변하지 않지만 동적 IP는 변할수 있음 한 도메인은 여라 IP 주소와 연결될 수 있음

도메인은 어떻게 IP 주소와 연결될까?

우리가 브라우저에 http://www.google.com을 입력하면, 사실 컴퓨터는 직접 "google.com"을 이해하지 못합니다. 그렇다면 어떻게 작동할까요? DNS(Domain Name System) 덕분입니다.

 

1) DNS의 역할

DNS는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.

 

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

  • 사용자가 "google.com"을 입력함.
  • DNS 서버가 "google.com"의 IP 주소(예: 142.111.111.14)를 찾아줌.
  • 사용자의 컴퓨터는 해당 IP 주소로 접속하여 구글 사이트를 열어줌.

이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숫자를 기억할 필요 없이 도메인만 입력하면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

 

마무리

  •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장치 간 통신을 위한 숫자로 된 주소이다.
  • 도메인은 IP 주소를 대신하는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 주소이다.
  • DNS가 도메인과 IP 주소를 연결해준다.
  •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가 IP 주소를 찾아 접속을 도와준다.

앞으로 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할 때, 이 개념을 알고 있으면 더욱 유용할 것입니다. 이 글이 초보자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항상 초보자들을 위해 계속해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.😊

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된 내용입니다. 다음에도 유익한 내용을 전달해드리겠습니다!